에센셜 오일 원료소개|소말리아 유향 (Frankincense)

소말리아 유향 Frankincense


학명|Boswellia Carterii
원산지|소말리아
원료분류|레진시리즈
용량 |500g-25kg 드럼통(KG) 대형포장 도매
추출부위|레진
추출방법|수증기 증류법
과명|감람과
식물향기|달달한 향지향

▎에센셜오일 소개

따뜻하고 건조한 소말리아 갈레카요 지역에서 생산되는것이 최우선입니다. 동아프리카의 소말리아 갈레카요 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아열대 및 열대 사막 기후에 속하며 일년 내내 덥고 건조하여 비가 적게 내립니다.이러한 기후 조건에서 재배되는 유향은 특히 강합니다.

소말리아 프랑킨센스 나무는 척박하고 건조한 환경에 적응할 수 있으며 나무 껍질에서 유백색 수지가 흘러나오고 청신하고 은은한 향기는 마치 깊은 지혜를 가진 사람이 유구한 역사이야기를 서서히 서술하는듯 싶습니다.

▎성분분석

|주요성분: 테르펜

소말리아 프랑킨센스는 많은 양의 모노테르펜을 함유하고 있는데, 주요 성분은 소나무 기름에 있는 α-테르페노이드는 첫 향을 맡는 순간 호흡이 트이고 점막 보호 효과가 있습니다. 세스퀴테르펜에 있는 몰약은 좋은 항염증 효과가 있습니다. 다양한 에스테르 성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숨을 깊게 하고 이완시켜 평온함을 만듭니다. 몸, 마음, 정신에 조화롭고 통합적인 이완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소말리아 프랑켄센스는 또한 기 순환 촉진, 혈액 정체 조절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그 시효도 비교적 길게 갑니다.

▸ Bowles(2003)에 따르면, 유향의 주요 성분은 34.5% α-테르피넨, 14.6% α-물셀레리엔(α-water celeryene) 및 14% 파라시멘(paracymene)을 포함합니다.

|성분 1: α-테르피넨(α-pinene)

▸ 성분 1: 항미생물균에 관련된 연구。


▸ 항미생물균에 관련된 연구

|소말리아 프랑킨센스와 인도 프랑킨센스의 차이점

속명소말리아 프랑킨센스인도 프랑킨센스
학명Boswellia carteriiBoswellia serrata
별명아라비안 프랑킨센스、동아프리카 프랑킨센스-
원산지소말리아인도
성분α-테르피넨、몰약,
에스테르
에테르와 에스테르
  

|약용 프랑킨센스는 주요하게 4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 카스웰 유향나무 Boswellia carterii Birdw.는 오만, 예멘, 소말리아에 분포되여 있습니다.
  • 프랑킨센스 나무 Boswellia sacra Fluck.는 소말리아에 분포되여 있습니다.
  • 종이 유향나무 Boswellia papyrifera (Del) Hochst.는 에티오피아, 수단, 에리트레아, 나이지리아, 우간다, 카메룬, 중앙아프리카공화국, 차드에 분포되여 있습니다.
  • 치엽 유향나무 Boswellia serrata Roxb는 인도에 분포하는데 유향은 색, 순도, 나이, 향, 모양과 산지에 따라 등급이 매겨집니다.

|유향 소지식

유향은 가격이 비교적 높은데 송향은 유향과 모양새가 비슷하여 시장에는 송진이나 송향, 전분을 섞은 위조품이 자주 나오기도 합니다. 2012년 표본추출한 50건의 샘플 중 23건이 위조품이였고 이 중 22건은 송향산, 13건은 전분이 검출되였습니다. 2017년에 5개 부동한 지역 (박주, 항주, 성도, 상해, 중경) 시에서 판매하는 유향을 표본검사했는데 모두 에티오피아유향으로 나타났고 그중 함량은 모두 표준에 부합되지만 정도부동하게 위조솔향산을 섞은것으로 발켜졌습니다. 솔향의 솔향산 비율에 섞인 솔향은 모두 0.1% 미만이지만 솔향산은 작은 독이 있어 장기간 사용하면 인체에 해를 끼치기 때문에 유향에 대한 솔향산 검사가 필요합니다.

원료인증

참고문헌

  1. Kazemian A, et al. Evaluating the efficacy of mixture of Boswellia carterii, Zingiber officinale, and Achillea millefolium on severity of symptoms, anxiety, and depression in irritable bowel syndrome patients. J Res Med Sci. 2017; 22: 120.
  2. Yang, H.; Woo, J.; Pae, A.-N.; Um, M.-Y.; Cho, N.-C.; , J.; Lee, C.-J.; Cho, S. (2016). "α-Pinene, a major constituent of pine tree oils, enhances non-rapid eye movement sleep in mice through GABAA-benzodiazepine receptors". Molecular Pharmacology. 90 (5): 530–539.
  3. Mahmoudvand, H.; Sheibani, V.; Keshavarz, H.; Shojaee, S.; Esmaeelpour, K.; Ziaali, N. (2016). Journal of Parasitology. 11 (2): 177–185
  4. Mohamed, A. A., Ali, S. I., Kabiel, H. F., Hegazy, A. K., Kord, M. A., & EL-Baz, F. K. (2015). Assessment of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ssential Oil and Extracts of Boswellia carteri Resin. International Journal of Pharmacognosy and Phytochemical Research, 7, 502-509.
  5. Potentiating Antidepressant Action of Boswellia Serrata in Acute Models of Depression: A Preclinical Study. January 2013
  6. Rafie Hamidpour, Frankincense (Frankincense Rǔ Xiāng; Boswellia Species): From the Selection of Traditional Applications to the Novel Phytotherapy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Serious Diseases J Tradit Complement Med. 2013 Oct-Dec; 3(4): 221– 226.
  7. Prabhakar Adake 1*, Chandrashekar R 2 , S.N. Rao 3 .Preclinical evaluation of antidepressant activity of Boswellia serrata by Tail Suspension Test. Journal No: 7725 Vol. 2 No. 5 2013.
  8. Russo, E. B. (2011). "Taming THC: potential cannabis synergy and phytocannabinoid-terpenoid entourage effects". British Journal of Pharmacology. 163 (7): 1344–1364.
  9. M. Z. Siddiqui. Boswellia Serrata, A Potential Antiinflammatory Agent: An Overview. Indian J Pharm Sci. 2011 May-Jun; 73(3): 255–261.
  10. Nissen, L.; Zatta, A.; Stefanini, I.; Grandi, S.; Sgorbati, B.; Biavati, B.; et al. (2010). varieties (Cannabis sativa L.)". Fitoterapia. 81 (5): 413–419.
  11. Krishanu Sengupta et al. Comparative Efficacy and Tolerability of 5-Loxin® and Aflapin® Against Osteoarthritis of the Knee: A Double Blind, Randomized, Placebo Controlled Clinical Study. Int J Med Sci. 2010; 7(6): 366– 377.
  12. Ammon HP. Boswellic acids in chronic inflammatory diseases. Planta Med. 2006 Oct;72(12):1100-16.
  13. Kimmatkar N et al. Efficacy and tolerance of Boswellia serrata extract in treatment of osteoarthritis of knee--a randomized double blind placebo controlled trial. Phytomedicine. 2003 Jan;10(1):3-7.
  14. Pungle P, et al. Immunomodulatory activity of boswellic acids of Boswellia serrata Roxb. Indian J Exp Biol. 2003 Dec;41(12):1460-2.
  15. Gerhardt H. et al. Therapy of active Crohn disease with Boswellia eseratta extract. Z Gastroenterol. 2001; 39: 11-17.
  16. Gupta I. et al. Effects of Boswellia serrata gum resin in patients with ulcerative colitis. Eur J Med Res 1997 Jan; 2(1): 37-43.
  17. Gupta I. et al. Effects of Boswellia serrata gum resin in patients with bronchial asthma: results of a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6-week clinical study. Eur J Med Res 1998 Nov 17;3(11): 511-4.
  18. Study on the origin of frankincense (Ⅱ). Characters, microscope, TLC and HPLC identification techniques to analyze three kinds of frankincense. Wang Zhao, Sun Lei, Kang Shuai, etc. Chinese Materia Medica 2014, 37(6): 981-984. 19. Commodity survey and quality testing method research of frankincense. Zhong Mingcheng, Rao Weiwen, Xiao Cong. Chinese Modern Applied Pharmacy 2012, 26(5): 409-414. 20. Quality evaluation of frankincense commercially available in 5 different regions and inspection of rosin which is easily adulterated. Zhai Xin, Pang Kejian, Tang Hui, etc. Shi Zhen Guo Yi Guo Yao 2017, 28(8): 1866-1869.

|일부 이미지 출처는 인터넷이며, 저작권 침해 시 연락 주시면 삭제하겠습니다|


기사 더보기

기업브랜드

Facebook

Instagram

고객상담

+82 10-5578-6173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109, 9층(역삼동, 강남제일빌딩)
sales@pureness.asia
평일 09:30~17:30(주말 및 공휴일 휴무)

Copyright © 2016-2024 PURENESS INTERNATIONAL CO., LTD.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