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리세이지 Clary sage
학명|Salvia sclarea
원산지|헝가리
원료분류|향초 시리즈
용량 | 500g-25kg 드럼통(KG) 대형포장 도매
자세한 내용은 문의바랍니다
추출부위|꽃, 잎
추출방식|수증기 증류법
과명|꿀풀과 Lamiaceae
식물향기|약간의 쓴향과 향료향을 가진 잔잔한 풀향
▎에센셜 오일 소개
클라리세이지는 라틴어로'뚜렷하다'는 뜻에서 유래했습니다. 중세기 유럽인들은 눈병치료에 쓰이기도 했기에"See Bith","Eye Bith"라고도 불렸습니다. 풀의 길이가 약 70~120cm인 다년생 초본식물로 잎사귀가 솜털을 덮어 하트형을 만들고 약간의 분홍혹은 연보라색이 섞인 흰색꽃이 피는데 원산지는 남유럽이고 종류는 450종에 달합니다.
클라리세이지는 때로는 2년생 초본식물로 간주되고 때로는 다년생으로 분류되는데 그 에센셜 오일은 꽃의 식목꼭대기와 잎사귀에서 온것으로서 냄새가 아주 독특하고 향기롭고 따뜻하며 풀향과 차의 향을 혼합하였습니다.
▎성분분석
|주요성분: 리나일 아세테이트
화학조성부분은 상당히 복잡한데 250가지 다향한 성분이 있고 리나룰 (Linalool) , 빅루트 제라니움( Bigroot Geranium), ß-클로브 오일 탄화수소, 스클라레올(sclareol), α-카리오필렌등이 있습니다. 그중 주성분에는 모노테르펜알코올과 에스테르인데 이 두가지 성분은 트루 라벤다의 진정한 주성분입니다.
클라리세이지는 또 아주 보기 드문 스클라레올 (sclareol) 이 있는데 일종의 디테르페노이드 알코올이고 에센셜 오일에서 흔히 볼수없는 대분자인데 휘발성도 비교적 낮고 분자구조가 에스트로겐중의 에스트라디올과 매우 흡사하기때문에"에스트로겐 유사"작용이 있지만 혹은 대뇌변연계에 의해 생성될가능성도 있습니다.
클라리세이지와 가까운 품종으로는 샐비어 버베나카 (S.verbenaca) 과 살비아 프라텐시스 (S.praetensi)s가 있는데 이 두 식물은 모두 고대에 흔히 사용하던 약품으로서 눈병을 치료하고 소화를 돕는 외에 맥주를 양조하고 사향포도주맛내기를 맞추는데 사용하기도 합니다.
|성분분류
1. 리나롤과 리나일 아세테이트 (linayl acetate), 예: 클라리세이지
2. α-和ß-투존(Thujone), 예: 달마시아 세이지 (Dalmatian sage)
3. 1.8-유칼리프톨( Eucalyptol)과캠퍼(camphor), 예: 희랍 세이지, 스페인 세이지
|연구인증
▸ Seol 등은 2010년에 동물실험으로 몇가지 에센셜 오일의 항우울효과를 검토한결과 측정된 모든 에센셜 오일중 클라리세이지(5%)가 스트레스해소에 가장 효과가 있는것으로 밝혀졌는데 그 원인은 클라리세이지가 로토닌, 도파민, 아드레날린, GABA 수용기를 조절할수 있기때문일수 있다고 나타났습니다.
▸ Sienkiewicz M 등의 연구에 따르면 클라리세이지와 황색 포도상구균으로 인한 피부상처감염과 관련된 연구가 이루어졌습니다.
|원료인증
관련 인증 자료를 받으려면 공시LINE@에 가입하기를 눌러주세요
▎참고문헌
- Geun Hee Seol et al.Antidepressant-like Effect of Salvia Sclarea Is Explained by Modulation of Dopamine Activities in Rats. J Ethnopharmacol. 2010 Jul 6;130(1):187-90
- Monika Sienkiewicz et al.The Effect of Clary Sage Oil on Staphylococci Responsible for Wound Infections. Postepy Dermatol Alergol.2015 Feb;32(1):21-6.
- Jean-Claude Caissard et al. Budzyńska A et al. Extracellular Localization of the Diterpene Sclareol in Clary Sage (Salvia sclarea L., Lamiaceae)
- Lawrence BM (1994) Production of clary sage oil and sclareol in North America. Proc 4th Nyons Int Meet, Dec. 5–7th, Nyons, France: 41–58.
- Werker E, Ravid U, Putievsky E (1985) Glandular hairs and their secretions in the vegetative and reproductive organs of Salvia sclarea and S. dominica . Isr J Bot 34: 239–252.
- Colson M, Perrin A, Derbesy M, Bayle JC, Tanti RM (1985) .L'essence de sauge sclarée (Salvia sclarea L.). Parf Cosm Arômes 66: 53–58.
- Elnir O, Ravid U, Putievsky E, Dudai N (1991).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wo clary sage chemotypes and their hybrids. Flav Frag J 6: 153–155.
- Hudaib M, Bellardia M G, Rubies-Autonell C, Fiori J, Cavrini V (2001) .Chromatographic (GC-MS, HPLC) and virological evaluations of Salvia sclarea infected by BBWV-I. Farmacia 56: 219–227.
- Mihalik E, Lehoczki E, Bodor Z, Németh EZ (2005) Photosynthetic and morphological characters of leaves of the annual and biennail Salvia sclarea biotypes. Acta Biol Szeged 49: 161–163.
- Schmiderer C, Grassi P, Novak J, Weber M, Franz C (2008) Diversity of essential oil glands of clary sage (Salvia sclarea L., Lamiaceae). Plant Biol 10: 433–440.
|일부 이미지 출처는 인터넷이며, 저작권 침해 시 연락 주시면 삭제하겠습니다|